전남교육감후보정책안 (2005. 9)
교육소식 (66)
제15대 전남교육감 후보-기호3 이천만 후보 | 교육소식
전남교육행정 개혁과 쇄신
- 21세기 교육비젼을
① 프로필
- 생년월일: 1943년 4월 27일생(만 62세)
- 학력 및 경력
·고흥 남양초등학교, 조선대학교부속중고등학교, 광주교육대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여수중흥초등학교 교장
·전남교감장학회장, 무등전통문예교육회장, 광주문인협회원
·고흥 남양초등학교 교사, 보성초등학교, 신안 임자중앙초등학교, 광양 진월남초 등학교
순천부영초등학교 교감
곡성 겸면초등학교 교장, 여수 중흥초등학교 교장
- 논문·저서
한국화교육론, 한국민화교육론, 학교운동회 민속놀이 축제론,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훈사정음訓師正音, 민속놀이 학교운동회 자료집, 1980년대부터 한겨레신문, 순천신문, 대한저널, 광주교사신문에 교육 개혁을 지향하는 교육칼럼 연재
[질의 답변]
※ 교육감 선거에 출마하려는 이유
전남교육은 교육부 교육성과평가에서 보듯이 매년 하위권을 면치 못하고 잇고, 반면에 부패방지위원회 청렴도 조사에서는 전국시도교육청에서 13위며, 부패도는 광주에 이어 2위입니다. 최근 4년 동안 <실력전남>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인재 육성을 한다며 서울의 S대 입학률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 1.4%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서울 대비 학생수는 5 : 1인데 입학률은 28 : 1입니다. 실력전남의 구호가 무색합니다. 덧붙여 인사만사라는 인사는 혼란스럽고 이로 인해 교단은 날로 피폐로와져갑니다. 그렇잖아도 전남은 낙후와 영세성이 자심한데 교육이 이렇게 횡폐회되어감으로 전남인은 희망도 비전도 없습니다. 교육 개혁으로 이를 극복하여 전남인에게 희망을 전남교육은 교육적 비전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 전남 교육에 대한 평가
전남 교육에 대하여 장점으로는 ICT 활용교육과 외국어 교육 추진, 과학전람회 입상 및 학생 기능력 향상, 유아교육의 기반조성을 들 수 있고, 단점으로는 공교육에 대한 불신 풍토의 고조와 인사행정의 불합리로 인한 교직원의 사기 저하, 그리고 전남교육청의 청렴도 전국 최하위 및 금품향응수수 2위 등입니다. 교육 추진의 어려운 점은 도서벽지 및 농·어촌 학교가 많아 소규모 학교가 많다는 점입니다.
※ 당선 뒤 전남 교육청 운영 개요
* 교육과정 연합과 통합으로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선도할 수 잇는 창의력 육성을 도모하겠습니다. 중앙집권적 교육행정을 전남주권적 정책가변형 교육행정체제로 전환하여 교육행정의 일대 쇄신을 이룩하겠습니다. 교무회의,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회, 학생회의 의결기구화를 모색하여 학교문화풍토를 민주적으로 혁신하겠습니다. 권역별 특성화학교를 구상하고 특성화교육과정을 구안하여 지역 인재 육성을 지원하겠습니다.
·중앙집권적 교육행정을 <전남주권적 교육행정체제>로 전환한다.
·교육의 민주, 자유, 평등주의 헌법정신을 준수한다.
·학교문화풍토를 쇄신한다.
·일제시대 관료행정체제를 <21세기 가변형행정체제>로 개혁한다.
·<인사제도의 공영제>를 실시한다.
·교육관리행정을 구조조정한다.
·<교육과정을 통합, 연합>하여 지식기반사회 교육을 선도한다.
·유치원, 초중등학교 <제자리찾기운동> 전개 교육의 본질을 추구한다.
·<여교직원 30% 할당제>를 실시한다.
·사립학교 교원 전문직 할당제와 인사공영제를 실시한다.
·농어촌소규모학교의 적정화와 학교 통합 연계교육 시스템을 개발한다.
·실업교육의 복선화와 전문화를 추구한다.
·공문서 D/B화로 교사의 사무분장을 폐지하고 교육행사를 최소화한다.
·유치원, 초중등학교와 전문학교, 대학교 <교육시설 공동체>를 계획한다.
·퇴직교직원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교직원 윤리규정을 강화하고 <자율연수휴가제>를 실시한다.
·교육단체의 교육자문 역할 활성화를 도모한다.
·교직원 복지시설 규정을 제정한다.
·학교 시설과 관리 용역제를 실시한다.
※ 교사평가제에 대하여?
근무평정과 학교평가를 연계하여 자율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교사다운 교사가 우대받는 평가로 전환하겠습니다.
※ 교육장 공모제, 교장 초빙제, 교사 초빙제 확대 및 교장직 선출제에 대하여?
승진제도는 학교문화 왜곡과 교단 갈등의 원인이므로 다양화하되 경력제, 시험제, 추천제, 선출보직제, 초빙제로 병행하겠습니다.
※ 교원의 지방직 공무원화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독립성을 추구합니다. 지방자치 논리를 배제합니다. 교육이 지자체에 병합되면 정치, 경제, 사회 논리에 의해 훼손이 심각하고 지역 격차도 크게 됩니다.
※ 소규모 학교의 운영?
전남 곡성군의 농촌적정규모학교를 모델로 교육공동체 연계를 모색하고 어촌벽지는 유학 기숙사제도를 확립하려고 합니다.
※ 공동학군제 문제?
근본적으로 광주와 전남의 통합을 바랍니다. 행정적 통합이 어려우면 교육행정의 통합이라도 우선하여 지역 갈등과 학생교육 문제를 해소하기를 기대합니다.
※ 전남의 지자체별 교육투자에 대한 의견?
지자체는 예산에서 교육 투자 예산을 상향 조정하여 교육에 지원하기를 기대합니다. 지지체가 다양한 행태를 보이는 일은 이제 시작된 과도기 현상입니다.
'교육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05-09-27 18:22:14
• 제15대 전남교육감 선거- 기호5 허순종 후보
• 2005-09-27 18:19:12
• 제 15대 전남교육감 선거 -기호4 정찬종 후보 [1]
• 2005-09-27 18:12:30
• 제15대 전남교육감 후보-기호3 이천만 후보
• 2005-09-27 18:07:40
• 제15대 전남교육감 선거-기호2 박봉주 후보 [3]
• 2005-09-27 18:02:55
• 제15대 전남교육감 선거-기호1 김장환후보
전라교육's blog is powered by Daum